다른 카페에 올린글 > 심심풀이

본문 바로가기

심심풀이

다른 카페에 올린글

profile_image
최고관리자
2025-10-31 08:11 30 0

본문

공사계약에서 제보험료의 고정비 인식과 실제 정산 방식

1. 개요
건설공사 계약 실무에서는 산재보험료, 건강보험료, 국민연금, 고용보험료 등 이른바 "제보험료"를 설계내역서상 고정비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이는 실무적 편의에 따른 분류일 뿐, 법적·회계적 기준에서는 사후 정산 대상 항목으로 분류됩니다.

2. 고정비목 vs 사후 정산 항목 비교

구분                                                        고정비목 (예: 안전관리비)                            제보험료 (산재, 건강, 연금, 고용 등)
설계내역서 반영 방식                      정액 계상                                                    예상액으로 계상
낙찰율 적용 여부                              미적용                                                        적용됨
계약 시 인식                                    고정비로 명확히 분류                                  고정비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변동비
준공 후 처리                                    변경 불가 또는 제한적 변경                          실제 납부액 기준으로 사후 정산
법적 근거                                          건설기술진흥법, 산업안전보건법 등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 제26조의2 등
       

3. 제보험료의 실무적 처리 방식
계약 시 설계내역서에 예상 보험료를 계상하여 계약금액에 포함
공사 완료 후, 실제 납부 내역에 따라 정산 (초과 또는 미달 시 증감 처리)
낙찰율을 적용한 후 정산하므로, 법적 의미의 고정비목은 아님

4. 오해의 원인
계약서에 명시된 금액이 고정처럼 보임
정산 시점이 공사 완료 후이므로, 계약 단계에서는 변경이 어려워 보임
실무자 간 관행적으로 "고정비"로 분류하는 경우 다수



5. 실무자 유의사항
제보험료는 고정비처럼 보이더라도 반드시 사후 정산 대상임을 인지
계약서 작성 시, 관련 법령에 따른 처리 기준을 명확히 반영
설계내역서와 계약내역서 간의 용어 혼동 방지 필요
발주자 및 수급자 간 정산 기준에 대한 사전 합의가 중요

6. 참고 법령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 제26조의2 (제보험료 정산 기준)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26조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건설기술진흥법 제63조 및 시행규칙 제60조 (안전관리비)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